간접흡연 폐암환자, 치료 효과도 낮아
간접흡연 폐암환자가 직접흡연 폐암환자보다 치료제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6일 세브란스병원은 간접흡연이 폐암발병과 관련된 바이오마커에 영향을 미쳐 폐암 발병률을 높이는 것은 물론 간접흡연 폐암환자에게 항암제의 치료 효과도 떨어뜨려 결과적으로 간접흡연 폐암환자의 수명을 단축시킨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암센터 김주항-조병철 교수 연구팀의 연구논문을 소개했다.
흡연이 직접흡연자 뿐만 아니라 간접흡연자에게서도 폐암을 일으킨다는 것은 여러 선행 연구에서 증명된 바 있지만 간접흡연 폐암환자가 억울하게도 직접흡연 폐암환자보다 폐암치료제 효과도 현저히 떨어진다는 사실은 이번 연구에서 처음 규명됐다.
연구팀은 2006년 6월~2008년 12월 비흡연자 폐암환자 179명을 대상으로 간접흡연 유년기노출, 성인노출, 가정내노출, 직장내노출 등 다양한 간접흡연력을 조사했다.
또 이들의 질병력과 가족력, 도시거주기간 등을 복합해 모든 환자에서의 상피세포성장인자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조사했다. 상피세포성장인자의 유전자 돌연변이는 이레사(gefitinib)나 타세바(erlotinib)와 같은 표적치료제의 주요 타깃이 되는 바이오마커다. 돌연변이가 존재하면 이러한 표적치료제의 치료반응이 매우 좋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 결과 과거 간접흡연에 노출된 환자의 경우 상피세포성장인자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38.5%로 직접흡연에 노출된 환자의 61.4%에 비해 상당히 적었다. 특히, 간접흡연 성인노출 및 가정내노출의 경우 상피세포성장인자 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연히 적은 것이 확인됐다. 다른 간접흡연 노출 유형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또 간접흡연의 노출 기간이 길수록 상피세포성장인자 유전자의 돌연변이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때문에 간접흡연에 노출된 환자는 이레사나 타세바와 같은 표적치료제에 반응율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조병철 교수는 "이번 연구는 간접흡연력이 비흡연자 폐암환자에서 상피세포성장인자 유전자의 빈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처음으로 증명한 것"이라면서 "무지한 흡연에 노출된 많은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법이나 정책적으로 공공장소에서의 금연을 홍보 계몽해 나가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저명한 국제 종양전문학술지인 JCO에 게재됐다.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