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지럼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진단 및 치료 효과를 판정합니다.
중추 신경계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지럼증 환자의 진단 및 치료 효과를 판정하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로 특히 어지럼증 원인 파악에 유용한 검사입니다. 비디오 안진 검사는 카메라로 촬영된 안구 영상에서 동공의 위치와 홍채 패턴을 찾아내고 동공의 위치 변화를 분석하여 수평성분의 안진과 수직성분의 안진을 정확히 분석하는 검사입니다. 이 검사를 바탕으로 병변이 귀의 전정기관에서 발생한 것인지, 아니면 대뇌나 소뇌, 뇌간 등의 중추 신경계에 기능적인 이상이 있는지를 알아내는 중요한 검사법입니다
[비디오안진 검사장면]
적외선카메라가 부착된 고글을 쓰고 여러 자극에 반응하는 안구의 움직임을 비디오로 촬영하여 분석해 어지럼증의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합니다.
검사 소요시간약 30분
유의사항검사 전 | 신경안정제, 어지럼증 치료 약물은 검사예정일 1- 2일전에 금해야 합니다. (고혈압, 당뇨, 호르몬제, 간질, 관절약 등의 치료를 위한 약은 복용하여도 무관합니다. ) |
---|---|
검사 시 |
|
검사 후 | 검사 중 또는 검사 후에 어지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검사 후 주사치료나 안정을 취한 뒤 마칠 수 있어 일정 시간이 추가로 소요 될 수 있습니다. |
어지럼증 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어지럼증 원인 파악에 유용한 검사입니다.
어지러움의 양상을 알 수 있는 것으로 양쪽 눈이 동시에 한쪽 방향으로 빠르게 규칙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안진이라 하는데 이러한 눈의 움직임을 정확히 관찰하고 분석하기 위해 프렌젤 안경을 씌우고, 안진검사를 통해 가만히 있을 때, 자세를 바꾸어 보았을 때, 머리를 흔들어 보았을 때 나타나는 안진을 분석하여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검사입니다.
이석증 환자의 경우 검사와 동시에 이석 정복 치료가 가능합니다.
[프렌젤안진 검사장면]
약 10분
청각의 예민한 정도를 측정합니다.
소리나 목소리 등 우리 생활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잘 들리는지 여부와 청각의 예민한 정도 들을 측정하기 위해 실합니다.
아주 간단한 검사로 약간의 협조만 되면 시행할 수 있습니다.
[미세청력 검사기계]
[미세청력 검사장면]
외부의 소리를 차단한 부스에서 이루어지며, 헤드폰을 쓴 후 한쪽 귀씩 작고 미세한 소리를 듣고 소리가 들리면 버튼을 누르는 방법과 언어청각 검사를 통해 외이, 중이에 이상이 생기는 전음난청이나, 중이염, 소음성 난청, 청신경종양 등을 감별하는 검사입니다.
검사 소요시간약 30분
주파수와 이명 크기를 확인합니다.
이명이란 외부의 소리자극 없이 환자 자신의 귀에서 소리가 들리는 질환으로 동반증상 없이 단독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 난청, 어지럼증, 귀가 꽉 차고 먹먹한 느낌의 이충만감, 전신의 피로감 등과 같은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명 환자가 느끼는 소리의 종류는 매미 소리, 바람 소리, 귀뚜라미 소리, 물 흐르는 소리, 개구리 우는 소리, 자동차 엔진 소리 등 매우 다양합니다.
순음청력검사 기기를 사용하여 이명검사(tinnitogram)를 시행할 경우 환자의 이명과 가장 가까운 주파수와 이명 크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명 검사장면]
환자에게 헤드폰을 착용시킨 후 이명소리가 저음인가 고음인가를 확인하고 소리가 순음인가 잡음인가를 통해서 이명의 강도와 주파수 크기를 매칭시켜서 이명 환자의 이명소리를 정확히 측정하고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검사 소요시간30분에서 1시간 정도 소요
뇌간의 기능을 간접적으로 평가합니다.
청각을 자극하여 뇌간에서 발생하는 청각유발전위를 기록함으로써 뇌간의 기능을 간접적으로 평가하고 병변의 위치를 감별합니다.
[청각유발전위 검사장면]
두피와 귀 뒤쪽에 전극을 붙이고 누운 자세에서 헤드폰을 통해 한쪽 귀에 Click sound(딱-딱)로 자극하고 반대쪽 귀에는 은폐소음(쉬-)을 주어 검사를 진행합니다.
검사대상약 20분
구형낭의 기능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말초전정기관 중 이석기관인 구형낭의 기능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반복되는 음자극을 가하여 구형낭을 통해 경부근육에 나타나는 유발전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현재로서는 임상적으로 가장 간편하게 구형낭을 검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전정기능 소실이나 메니에르병과 같은 질환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검사방법입니다.
[전정유발근전위 검사장면]